Algorithm/programmers(python)

[programmers] 멀리 뛰기, 12914

메이데이! 2024. 4. 10. 00:25
반응형
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14

문제 설명

효진이는 멀리 뛰기를 연습하고 있습니다. 효진이는 한번에 1칸, 또는 2칸을 뛸 수 있습니다. 칸이 총 4개 있을 때, 효진이는
(1칸, 1칸, 1칸, 1칸)
(1칸, 2칸, 1칸)
(1칸, 1칸, 2칸)
(2칸, 1칸, 1칸)
(2칸, 2칸)
의 5가지 방법으로 맨 끝 칸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. 멀리뛰기에 사용될 칸의 수 n이 주어질 때, 효진이가 끝에 도달하는 방법이 몇 가지인지 알아내, 여기에 1234567를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하세요. 예를 들어 4가 입력된다면, 5를 return하면 됩니다.

더보기

제한사항

  • n은 1 이상, 2000 이하인 정수입니다.

입출력 예

입출력 예시
입출력 예시

입출력 예 설명

입출력 예 #1
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습니다.

 

입출력 예 #2
(2칸, 1칸)
(1칸, 2칸)
(1칸, 1칸, 1칸)
총 3가지 방법으로 멀리 뛸 수 있습니다.

풀이

풀이 1 : 실패, 시간 초과

아이디어 : 순열

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

def solution(n):
    answer = 0
    #1.
    two_n = n//2
    #2.
    lst = []
    for i in range(n//2+1):
        temp_lst = [2]*i
        temp_lst += [1]*(n-2*i)
        lst.append(temp_lst)
        temp_lst = []
    #3. 
    for comb in lst:
        comb_lst = list(set(map(tuple, permutations(comb, len(comb)))))
        answer += (len(comb_lst))       
    return answer%1234567

풀이 설명

  • 1. 2의 최대 개수 : n//2
  • 2. 2의 개수 + 나머지 1의 개수로 채운 list 여러개 생성
  • 3. 각 리스트 별 조합 수 더하기

풀이 2 : 성공

아이디어 : 피보나치 수열

def solution(n):
    #1.
    a, b = 0, 1
    #2.
    for i in range(n):
        a, b = b, a+b
        
    return b % 1234567

풀이 설명

  • 1. 0 + 1 < n=1일 때
  • 2. a, b = b, a+b 로 피보나치 수열 구현

n = 1부터 6정도까지 직접 써보고 규칙을 찾았다. 이외의 방법은 DP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고 한다. DP로 풀게되면, 추가해서 올릴 예정

반응형